Pajek은 Graph visualization tool입니다. eps, VRML, SVG, 등등등 많은 출력 포맷을 지원하고, 노드와 링크의 색, 모양, 위치를 다양하게 지정할 수 있습니다. 그리고 자체적으로 네트워크를 만들어낼 수도 있고, 네트워크 위에서 특정 노드들간에 거리를 구하거나 하는 여러가지 분석도 가능합니다.
Table of Contents
Pajek 다운로드 & 설치 & 구경 #
위에 있는 홈페이지에서 pajek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합니다. 홈페이지에서 Examples를 눌러서 그림 구경을 해 봅니다. How to?
를 눌러 어떤 문서들이 있는지 구경합니다. 여기서 맨 위에 있는 문서를 이제 주로 보게 될 것입니다. 아. 그리고 나중에 제목 옆에 있는 소리 버튼을 눌러서 pajek을 어떻게 발음하는지 들어봅니다. :)
이제 pajek을 설치한 폴더로 갑니다. /doc 디렉토리로 들어가서 어떤 문서들이 있는 지 대충 구경합니다.
네트워크 그려보기 #
- 참고: ex1.net, ex2.net pajek을 실행시킵니다. Network 라고 써 있고 open, save, 손으로 머 쓰고 있는 세 개의 아이콘이 있습니다. open 아이콘을 눌러 pajek 밑에 data라는 디렉토리로 가서 아무 파일이나 읽습니다. 위에 있는 메뉴에서 Draw - Draw 를 선택하면 그림이 그려집니다. 그 디렉토리에 있는 네트워크들은 차례로 읽어보고 젤 멋있는 그림이 떴을 때 x키, y키, z키를 꾸욱 눌러보세요. 그림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확인하세요. 마우스로 아무 노드나 찍어서 드래그 해보세요. Layout 메뉴에서 이것저것 만져보세요. eps파일로 export 하세요.
pajek 포맷 #
pajek은 고유의 포맷을 가지고 있습니다. 홈페이지의 how to 맨 첫 문서를 보면 스펙이 잘 나와있습니다. 메모장을 열어 직접 10개의 노드로 되어있는 네트워크를 하나 만들어보세요. 연결 상태는 임의로 주되 방향성 있는 edge와 방향성이 없는 edge를 섞으시길 바랍니다. 그리고 각 노드들의 위치는 적당히 regular lattice를 이루도록 만듭니다.(pajek/doc/drawEPS.htm 참조) pajek으로 읽고 그림을 그려서 .bmp 파일로 export를 하세요.
보통 네트워크를 기술하는 format은 다음과 같은 단순한 two column format입니다.
0 1
0 3
0 4
1 0
1 2
2 1
3 0
4 0
한 줄은 하나의 directional link를 나타냅니다. 이런 네트워크 파일이 주어졌을 때 pajek 포맷으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을 만드세요. ( <!> 노드(vertice)번호는 1번부터 시작해야 합니다.)
Incoming Links #
Related Articles (Article 0) #
Suggested Pages #
- 0.025 Processing
- 0.025 Java
- 0.025 Cytoscape
- 0.025 Category:Visualization
- 0.025 Minimum spanning tree
- 0.025 revision control system
- 0.025 Python
- 0.025 Javascript
- 0.025 Ubigraph
- 0.025 Gource
- More suggestions...